본문 바로가기
생활 문화 정보

재활용품 분리 배출 요령, 일반쓰레기 종류 봉투 가격 1분 만에 알아보기

by mozzydiary 2025. 7. 15.

재활용품 분리배출 요령, 일반쓰레기 종류 봉투 가격 1분 만에 알아보기

 

요즘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활용 분리수거함 앞에서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분리배출을 잘하고 싶지만, 막상 버리려고 하면 “이건 어디로 버려야 하지?” 하고 망설이게 됩니다.

특히 재활용품인 줄 알고 분리배출했지만, 실제로는 일반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는 품목이 꽤 많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재활용품 분리배출요령에 따라 혼동하기 쉬운 품목들을 정리하고,

일반쓰레기 종류와 함께 일반쓰레기봉투 가격배출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재활용품 분리 배출 요령, 일반쓰레기 종류 봉투 가격 1분 만에 알아보기

 

 

1. 헷갈리기 쉬운 재활용 쓰레기 종류

 

색깔 있는 스티로폼

흰색 스티로폼은 재활용 가능하지만, 색이 들어간 스티로폼이나 이물질이 묻은 포장용 스티로폼은 재활용되지 않습니다. 특히 건축용 내·외장재용 스티로폼은 단열재로 사용된 후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과일망과 과일 포장재

망고나 멜론을 감싸는 과일망, 과일 포장재는 모두 플라스틱 재질처럼 보이지만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재질이 다공성이고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일반쓰레기입니다.

 

 

컵밥, 컵라면 용기

플라스틱 마크가 있어 재활용될 것 같지만, 내용물이 묻어있거나 오염된 컵라면 용기, 컵밥 용기는 재활용이 불가합니다. 깨끗이 씻어서 말리지 않으면 자동으로 일반쓰레기로 분류됩니다.

 

이건 처음 알았네요 ㅎㅎㅎㅎㅎ 주의해야겠어요.

 

 

2. 눈에 잘 띄지 않는 일반쓰레기 종류

 

치킨 상자 속 기름종이

겉 포장지는 종이로 분리배출 가능하지만, 내부의 **기름종이(왁스 처리된 종이)**는 일반쓰레기입니다.

이물질이 묻었거나 코팅된 종이는 재활용 불가입니다.

 

 

 

도자기, 사기그릇, 조명 기구 유리류

도자기류, 사기 접시, 유리컵, 깨진 병 조각, 전등 커버 유리 등은 모두 일반쓰레기입니다.

유리는 투명 유리병(음료용 등)만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이물질로 간주되어 분리수거가 되지 않습니다.

 

 

칫솔, 장난감, 유모차, 보행기

문구류, 칫솔, 플라스틱 장난감도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복합 소재로 만들어졌거나 작은 금속 부품이 섞여 있기 때문에 재활용 공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특히 사용한 유모차나 보행기는 대형폐기물 신고 후 스티커를 부착하여 배출해야 합니다.

 

 

 

3.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하는 음식물 쓰레기 오해 품목

 

달걀껍데기, 양파껍질, 채소 뿌리

겉보기에는 음식물 쓰레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분해가 어려운 무기질 또는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어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딱딱한 과일껍질과 씨앗류

 

수박껍질, 바나나 껍질, 아보카도 껍질, 복숭아씨, 살구씨 등은 퇴비화나 사료화에 부적합하므로 일반쓰레기입니다.

단단한 구조로 인해 미생물 분해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1회용 티백, 한약재 찌꺼기

티백의 필터는 대부분 합성섬유 재질로 제작되어 음식물쓰레기로 분류할 수 없습니다.

한약재 찌꺼기 역시 나무껍질, 뿌리 등으로 구성돼 있어 처리에 어려움이 많아 일반쓰레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조개껍질, 육류 및 어패류의 뼈

조개껍질, 홍합, 멍게, 전복 껍데기, 고기나 생선 뼈는 단단하고 분해가 어려워 음식물쓰레기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모두 일반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해야 합니다.

 

 

 

4. 고무장갑, 노끈, 아이스팩도 일반쓰레기입니다!

 

 

고무장갑

사용한 고무장갑은 고무와 화학첨가물이 포함돼 있어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일반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며, 장갑 내부까지 오염된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노끈, 줄

노끈, 비닐 끈, 빨랫줄 등은 감아서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해야 합니다.

재질이 합성섬유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분리수거함에 넣을 경우 설비에 엉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아이스팩과 보온 보냉팩

 

젤 타입의 아이스팩은 절대 하수구에 버리면 안 됩니다.

내용물을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배출하거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아이스팩 수거함을 운영하고 있으니 확인 후 배출하세요. 보온·보냉팩도 복합재질이라 재활용이 되지 않으며 일반쓰레기입니다.

 

 

 

 

5. 일반쓰레기봉투 종류 및 가격 (2025년 기준)

 

일반쓰레기봉투는 지역마다 종류와 가격이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어, 부산시 기준으로 10L 종량제 봉투는 약 230원~250원, 20L는 500원 내외, 50L는 약 1,000원~1,300원입니다.

투명 봉투 사용이 의무화된 지역도 있으니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외 자치구 기준)

  • 5L: 130원
  • 10L: 250원
  • 20L: 490원
  • 30L: 740원
  • 50L: 1,250원
  • 75L: 1,880원 

※ 서울 평균 가격이며, 자치구 세팅에 따라 ± 약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서울 강서구 (오프라인 판매 기준)

  • 5L: 130원
  • 10L: 250원
  • 20L: 490원
  • 30L: 740원
  • 50L: 1,250원
  • 75L: 1,880원 

 

 

📍 서울 종로구 (공급·판매가격 비교)

  • 5L: 121원(공급) / 130원(판매)
  • 10L: 232원 / 250원
  • 20L: 456원 / 490원
  • 50L: 1,162원 / 1,250원
  • 75L: 1,748원 / 1,880원 

※ 공급가 대비 판매가가 일부 차이 납니다.

 

 

 

📍 경기도 주요 도시 비교 (참고용)

  • 군포시: 5L 180원, 10L 360원, 20L 900원
  • 부천시: 5L 150원, 10L 300원, 20L 600원

※ 경기도 내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매우 큽니다.

 

 

 

🛍️ 구매처 및 유의사항

  • 구입처: 주민센터, 구청, 편의점, 슈퍼마켓, 자동판매기(해안가 등).
  • 음식물 전용 봉투는 별도 요금(예: 부산 3L 약 120~130원, 서울 3L 300원) 적용됩니다.
  • 사용 제한: 지역 외 봉투 사용 시 수거 거부, 벌금(최대 10만 원) 가능
  • 정확한 가격과 규격, 판매처 정보는 거주 지역 구청·주민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 대형폐기물 스티커 가격, 구입처

 

  • 대형폐기물 스티커 비용은 품목과 규격에 따라 ₩2,000부터 최고 ₩28,000 수준으로 큰 편차가 있습니다.
  • 평균적으로는 ₩5,000 안팎이 가장 많은 품목에 적용되며, 가구·가전 등 큰 품목일수록 가격이 높습니다.
  • 구입처는 크게 두 가지:
    온라인(인터넷 신고 후 출력) — 모바일/PC로 간편합니다
    오프라인 — 주민센터, 편의점,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에서 구매 가능

 

 

7. 일반쓰레기 배출 요령

 

  •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 금지
  • 액체류나 젤류는 신문지에 흡수시킨 후 봉투에 담기
  • 날카로운 물건은 신문지로 싸서 표기
  • 대형 폐기물은 스티커 부착 후 배출
  • 배출 시간은 지역마다 다르니 자치구 홈페이지 참고

 

 

8.. 헷갈릴 땐 '무조건 재활용'보다, '정확히 구분하기'

우리는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분리배출은 오히려 자원순환을 방해하고, 쓰레기 처리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헷갈릴 땐 무작정 재활용함에 넣는 것보다, 지역 지침을 확인하고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일반쓰레기인지 헷갈린다면?
‘고무장갑, 아이스팩, 컵라면 용기, 바나나껍질, 조개껍질’은 재활용도 음식물도 아닌 일반쓰레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