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 피임약, 경구 피임약 종류와 복용법 총정리, 응급 피임 효과와 부작용까지
오늘은 사후 피임약과 경구 피임약에 대해 정보드리겠습니다.
1. 사후 피임약
**사후 피임**은 성관계 후 임신을 예방하기 위해 복용하는 약물로,
흔히 "모닝 애프터 필" 또는 사후 피임약이라고도 불립니다.
피임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관계 후 가능한 한 빨리, 최대 72시간 이내에 복용해야 합니다.
사후 피임약은 이미 임신이 된 경우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착상된 임신을 중단시키는 기능은 없으며, 착상된 배아를 방해할 수 있는 약물은 윤리적 이유로
사후 피임약으로 판매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대표적인 사후 피임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노레보원정 (레보노게스트렐, 현대약품)
- 엘라원정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이 약들은 전문의약품이며, 처방을 통해 복용할 수 있습니다.
2. 사후 피임약의 종류
비상 피임 알약
- 일반적으로 "모닝 애프터 필"로 알려져 있습니다
- 배란을 억제하거나 수정 자체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 수정란(배반포)의 자궁 착상을 막을 수도 있지만, 이미 착상된 임신을 중단시키지는 않습니다
이는 임신 중인 배아를 제거하는 낙태약과는 다른 작용 기전입니다.
자궁 내 장치
- 장기 피임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지만, 응급 피임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성관계 후 최대 5일 이내에 전문가에 의해 삽입되어야 합니다.
일부 생명 존중 관점에서는 착상을 방해하는 모든 방식도 낙태에 해당한다고 주장합니다.
일부 사후 피임약이 며칠 뒤까지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착상 후 수정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논란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약사 측은 착상된 수정란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에 대해 부인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물들은 낙태약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경구 피임약
**경구 피임약**은 매일 복용하여 임신을 예방하는 피임약입니다.
196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이후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약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 배란 억제
- 자궁경부 점액을 진하게 하여 정자의 이동 차단
- 자궁 내막을 얇게 만들어 수정란 착상 방지
기타 활용 목적
경구 피임약은 피임 외에도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월경 주기 조절
- 생리통(월경곤란증) 완화
- 자궁내막증 치료
복용 방법
일반적으로 경구 피임약은 다음과 같이 복용합니다:
- 하루에 한 알씩, 정해진 시간에 21일간 연속 복용
- 이후 7일간 휴약, 이 기간 중 월경이 발생
일부 제품은 28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7정은 **호르몬이 없는 위약(가짜약)**으로 루틴 유지를 돕습니다.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기 전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약은 아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