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신 뜻

by mozzydiary 2025. 4. 30.

 

임신(姙娠, 문화어: 태앉기, 영어: pregnancy)이란

포유류의 태아가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된 때부터 자궁 밖으로 나올 때까지의 상태를 말한다.

 

임신 여부 확인은 마지막 성교 후 최소 2주 후부터 '소변 검사', 10일 후부터 '혈액 검사'를 통해 가능하다.

임신은 대개 자연적인 성관계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인공수정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정자와 난자의 결합에 의해 수정된 수정란은 자궁에 착상되며 이때부터 임신이 시작되어 출산, 유산, 낙태 등으로 끝난다.

 

임신이라는 말을 태아가 착상되어 임신상태가 시작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기도한다. 이를 회임(한국 한자: 懷姙 懷妊,영어: Gestation)으로 구별해서 부르기도 한다.

 

임신우울증은 일반적으로 임신 6개월 정도부터 시작된다.

임신 초기에 생기는 우울증은 입덧과 피곤함 때문에 생기지만 태동을 느끼면서부터는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임신 중기 이후에 생긴 우울증은 아기를 낳은 후에도 6개월 정도 계속된다.

 

임신우울증은 임신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지만, 심한 경우에는 태아에게 좋지않은 영향을 주고 육아를 하는 데 있어서도 장애가 될 수 있다.

임신우울증의 원인은 몸매의 변화, 여성호르몬의 증가, 출산 또는 육아에 대한 부담 등을 들 수 있다.

임산부가 잘못된 약물을 사용하거나, 과도한 음주나 흡연을 할 경우 태아에게 여러 가지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10대의 임신도 위험성이 큰데, 청소년이 임신을 하면 아기는 조산아나 저체중아를 유발하며, 슬로 푸드 같은 균형잡힌 식생활을 가지지 못해 악영향이 커질 수 있다.

임산부는 임신한 여자인 임부(임신부)와 갓 출산한 여자인 산부(산모)를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